물에서 검출되는 미세 플라스틱, 재활용되지 못한 폐플라스틱 더미 등. 플라스틱 쓰레기는 자연에서 썩지 않아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킵니다.
이에 플라스틱을 대신할 수 있는 소재로, 특정 환경에서 자연 분해되는 생분해성 수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요. 이 친환경 원료, 이름은 생소해도 시장에는 이미 전분, 셀룰로오스, 키틴, PLA, PHA, PCL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 식품용 기구나 용기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옥수수 전분 원료로 만든 폴리락타이드(PLA). 환경호르몬, 중금속 등 유해 물질 걱정이 적어 아이들이 쓰는 제품에도 많이 사용되지요.
다만, 생분해성 수지로 만든 용기도 각각 특성이 다르며 플라스틱 재질처럼 사용에 주의는 필요합니다. 사용 전 우선 확인해야 할 부분은 전자레인지 또는 식기세척기 사용 가능 여부.
또 생분해성 수지 용기의 일반적인 내열온도는 80℃ 이하로, 끓는 물 등 지나치게 높은 온도에 노출되면 변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표시사항에서 내열·내냉온도를 확인해둘 필요가 있지요.
보관할 때는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용기가 변색되거나 갈라져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 마지막으로 표면에 흠집이 많거나 균열이 생긴 용기는 즉시 교체하는 게 좋습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일 |
---|---|---|
381 |
한국 산림토양 ‘산성화’ 가속...독성 금속물질 농도 증가
관리자
|
2021-01-22
|
추천 0
|
조회 18
|
2021-01-22 |
380 |
그린뉴딜 시대, 깨끗하고 안전한 물관리 체계 조성
관리자
|
2021-01-22
|
추천 0
|
조회 19
|
2021-01-22 |
379 |
2020년 오존구멍이 점점 닫혔다고?
관리자
|
2021-01-22
|
추천 0
|
조회 20
|
2021-01-22 |
378 |
플라스틱 쓰레기, 쉬운 재활용에 방점
관리자
|
2021-01-22
|
추천 0
|
조회 20
|
2021-01-22 |
377 |
동물 서식지·일회용품 함께 늘었다? 코로나의 환경 영향
관리자
|
2021-01-18
|
추천 0
|
조회 39
|
2021-01-18 |
376 |
코로나에 가려진 기후위기의 심각성
관리자
|
2021-01-18
|
추천 0
|
조회 36
|
2021-01-18 |
375 |
2021년 환경 트렌드를 파헤친다
관리자
|
2021-01-18
|
추천 0
|
조회 41
|
2021-01-18 |
374 |
지리산국립공원 전북 '세뿔투구꽃 자생지' 환경부 특별보호구역 지정
관리자
|
2021-01-13
|
추천 0
|
조회 98
|
2021-01-13 |
373 |
한국환경공단 "일회용 물티슈 대신 개인 손수건을 사용합시다"
관리자
|
2021-01-13
|
추천 0
|
조회 90
|
2021-01-13 |
372 |
내년부터 폐기물 수입 금지된다... 2030 로드맵 마련
관리자
|
2021-01-12
|
추천 0
|
조회 90
|
202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