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부회색다람쥐 등 외래생물 100종 유입주의 생물로 지정·고시
▷ 외래생물 생태계교란 가능성 사전 검토로 생태계 관리 강화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외래생물 100종을 '유입주의 생물'로 추가지정하여 4월 13일 고시·시행한다.
유입주의 생물이란 국내에 도입되지 않은 외래생물 중 국내에 유입될 경우 생태계 등에 위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생물로서 환경부 장관이 지정·고시하는 생물종을 말한다.
이번에 새로 지정된 유입주의 생물은 동부회색다람쥐 등 포유류 15종, 블릭 등 어류 23종, 인도황소개구리 등 양서류 5종, 개이빨고양이눈뱀 등 파충류 8종, 노랑꽃호주아카시아 등 식물 49종이다. 이로써 유입주의 생물은 총 300종이 되었다.
추가된 100종의 유입주의 생물은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에서 2019년 3월부터 11월까지 분류군별 전문가 자문, 해외자료 등을 분석하여 찾아낸 후보군에서 지정됐다.
이번 주요 유입주의 생물의 지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국제적으로 생태계 위해성이 공인된 생물은 동부회색다람쥐, 개이빨고양이눈뱀 등 80종이며, 특히 동부회색다람쥐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지정한 세계 100대 악성 침입외래종으로 수목에 피해를 주며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외에서 사회적 또는 생태적 피해 유발 사례가 있는 생물은 흡혈박쥐, 여우꼬리귀리 등 10종이다. 특히 흡혈박쥐는 광견병, 코로나 바이러스 매개체로 사람이나 가축에게 질병을 전파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서식지 여건이 국내 환경과 유사하여 왕성한 번식력으로 정착 가능성이 높은 생물은 인도황소개구리, 야생보리 등 10종이다. 특히 인도황소개구리는 다른 양서류에 비해 크기 때문에 포식성이 강하며 번식력이 높다.
한편, '유입주의 생물'을 수입할 경우 관할 지방(유역)환경청장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최초 수입 승인 신청* 시 해당 생물에 대한 위해성평가(국립생태원 수행)가 이뤄진다.
* 수입 승인 신청 시 ①물품매도확약서 또는 계약서 사본, ②수출국에서 발행한 종명 증명서 사본, ③사용계획서, ④해당종의 개체수, 생태적 특성 등 위해성평가를 위한 자료 등 제출 필요
평가 결과에 따라 해당 생물은 ① 생태계교란 생물, ② 생태계위해우려 생물로 지정되거나 ③ 관리 비대상으로 분류되며, 해당 지방(유역)환경청장은 이를 반영하여 수입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유입주의 생물'을 불법 수입하는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지거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박연재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유입주의 생물 지정 취지는 위해성이 의심되는 외래생물의 생태계교란 가능성을 국내 도입전에 검토하기 위한 것"이라며,
"외래생물 사전 관리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해당 생물의 통관 관리 기관인 관세청과도 협조체계를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의 자세한 내용은 환경부 누리집(www.me.go.kr) 법령정보 및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1.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2. 유입주의 생물 100종 추가 지정 사유
3. 질의/응답. 끝.
번호 | 제목 | 작성일 | ||
---|---|---|---|---|
공지사항 |
전라북도 생태관광 체험프로그램 참가자모집
관리자
|
2019-04-09
|
추천 5
|
조회 5975
|
2019-04-09 | ||
공지사항 |
자연을 거닐다, 전북을 만나다_홍보영상
관리자
|
2017-12-28
|
추천 7
|
조회 3175
|
2017-12-28 | ||
공지사항 |
전라북도 생태관광, 보고 듣고 느낀다 _홍보영상
관리자
|
2017-11-23
|
추천 9
|
조회 3096
|
2017-11-23 | ||
공지사항 |
전북의 생태관광지를 찾아서 장수편_홍보영상
관리자
|
2017-07-24
|
추천 8
|
조회 3150
|
2017-07-24 | ||
공지사항 |
생태관광 필수 에티켓 10가지
관리자
|
2017-03-21
|
추천 7
|
조회 3539
|
2017-03-21 | ||
195 |
국립공원 코로나19 방역, 거리두기 등 예방에 주력
관리자
|
2021-01-22
|
추천 0
|
조회 13
|
2021-01-22 | ||
194 |
겨울철새 148만 마리 확인, 조류인플루엔자 대응체계 지속
관리자
|
2021-01-22
|
추천 0
|
조회 13
|
2021-01-22 | ||
193 |
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첫 달, 고농도 완화영향 확인
관리자
|
2021-01-22
|
추천 0
|
조회 14
|
2021-01-22 | ||
192 |
환경산업에 4천억 원 융자, 경제위기 극복 및 녹색전환 유도
관리자
|
2021-01-22
|
추천 0
|
조회 15
|
2021-01-22 | ||
191 |
동해안 하구습지 77곳 생태정보 담은 안내서 발간
관리자
|
2021-01-18
|
추천 0
|
조회 32
|
2021-01-18 | ||
190 |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현장조사…정착 '청신호'
관리자
|
2021-01-18
|
추천 0
|
조회 32
|
2021-01-18 | ||
189 |
2019년 전국 상수도 보급률 99.3%…도농간 격차 해소
관리자
|
2021-01-13
|
추천 0
|
조회 90
|
2021-01-13 | ||
188 |
1월 1주 국내외 미세먼지 정책 추진현황
관리자
|
2021-01-13
|
추천 0
|
조회 89
|
2021-01-13 | ||
187 |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국민대응수칙 홍보(리플릿)
관리자
|
2021-01-12
|
추천 0
|
조회 94
|
2021-01-12 | ||
186 |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계약 본격 추진…지침서 배포
관리자
|
2021-01-12
|
추천 0
|
조회 92
|
2021-01-12 |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