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읽기 전북 생태관광 함께읽기

“환경문제 개선에 가장 좋은 해법은 환경교육”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19-06-10 10:57:00
  • 조회1736

환경부가 지난해 발표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대한민국 환경교육’ 자료에 따르면 ‘지속가능 발전’은 현 세대와 미래 세대의 생존을 함께 고려하는 발전을 말한다. 특히 환경 보전뿐만 아니라 경제 발전과 사회적 형평성을 함께 추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적 수단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이 대두됐으며 세계적으로 환경교육은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상호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다양한 주제와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환경교육의 국제적 흐름을 살펴보면 1972년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최초로 세계의 환경문제가 다루어졌고 1975년 베오그라드에서 정부간 회의를 통해 환경교육에 관한 베오그라드 헌장이 발표됐다. 

이어 1977년 구 소련의 트빌리시에서는 환경교육진흥선언을 채택했으며 환경교육이 세계의 환경 보전의 역량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1987년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는 환경을 좀 더 다각적이고 넓은 시각에서 봐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지속가능발전(SD: Sustainable Development)을 발표했다. 

이런 세계적 흐름에 많이 뒤처졌지만 우리나라에서도 1980년 환경청이 설립됐으며 국민의 기본권 중 하나로 환경권이 규정되면서 환경교육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후 1990년 8월 환경정책의 핵심 법률인 ‘환경정책기본법’에 환경교육의 추진 근거를 마련했고, 1992년 10월 교육부는 6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환경과목을 독립 선택과목으로 채택했다. 이 시기에는 환경 관련 민간단체 등에서도 환경교육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일반시민과 학생들을 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했다. 

1993년에는 환경부에 환경교육과가 신설돼 운영됐지만 1999년 폐과된 이후 국가 환경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핵심 동력을 잃기도 했다. 

그러다 2008년 ‘환경교육진흥법’이 제정되면서 환경교육을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됐고 환경교육종합계획 수립 및 관련 제도가 시행됨으로써 환경교육의 기반을 굳건히 하게 됐다. 또한 지난해에는 환경부에 환경교육 전담부서인 환경교육팀이 신설돼 국가환경교육 사업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속가능발전 교육과 환경교육’을 주제로 하는 환경교육포럼이 7일 수원시청 중회의실에서 개최된 것이다. (송철호 기자) 2019.6.7/그린포스트코리아
 
◇환경교육, 왜 필요한가? 

환경문제를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해법은 환경교육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환경교육진흥법’ 제2조는 환경교육을 ‘국가와 지역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목표로 국민이 환경을 보전하고 개선하는 데 필요한 지식·기능·태도·가치관 등을 배양하고 이를 실천 하도록 하는 교육’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결국 환경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환경에 대해 알고 환경을 위한 마음으로 친환경 행동을 실천하는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친환경행동을 실천하려면 세상을 보는 관점과 가치관 등 마음 속 깊은 곳의 변화가 필요하다. 

세계관과 가치관의 변화는 자연스럽게 환경을 위한 행동을 이끌어내고 환경 지식과 기능은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환경교육은 환경 지식, 기능, 태도, 가치관 함양을 위한 교육으로 누구나, 그리고 평생에 걸쳐 이루어야 하는 교육이다.

이에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속가능발전 교육과 환경교육’을 주제로 하는 환경교육포럼이 7일 수원시청 중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포럼에서 이재영 공주대학교 교수는 ‘지역의 사회생태체계와 생물문화다양성을 중심으로’라는 내용으로 강연을 했다. 

이 교수는 “그동안 우리는 자연과 문화를 별개로 생각하면서 살았고 생태계와 사회체계라는 독립된 세계가 있다고 여겼다”며 “이런 자연과 문화를 별도로 보는 이원론적인 세계관이 바뀌지 않으면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어 “환경문제는 자연생태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 문제고 사회문화적 문제”라면서 “우리가 강이 오염됐다고 해서 강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듯 환경은 사회체계와 생태계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고 변화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체계”라고 덧붙였다.

◇종합계획 기초해 다양한 사업 추진 

‘환경교육진흥법’을 근거로 2011년부터 환경교육종합계획이 수립·추진되고 있다.

우선 ‘제1차 국가환경교육종합계획(2011~2015년)‘이 있다. 학교 환경교육, 사회 환경교육, 환경교육 기반의 3개 분야로 구분해 17개 이행과제를 계획했다.

제1차 국가환경교육종합계획의 성과로는 환경교육 시범학교 등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지원, 환경 교육프로그램 인증제 등을 통한 사회 환경교육 디딤돌 마련, 환경교육 네트워크 강화 등을 통한 환경교육 기반구축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차 국가환경교육종합계획(2016~2020년)’이 있다. 이 계획은 ‘배려하는 삶을 위한 환경교육의 일상화’라는 비전에 따라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 사회 환경교육 강화, 전문인력 양성 및 지원 확대, 환경교육 기반 구축의 4개 분야, 15개 추진과제로 나눠 진행되고 있다.

환경부는 “앞으로 환경교육의 체계를 확립하고 실제 현장에서 환경교육의 질과 양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 환경교육사업을 추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서 온 국민이 환경 소양을 갖춘 시민이 되고 국가와 지역사회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그린포스트코리아(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145)

송철호 기자

게시글 공유 URL복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작성일
660 임실군, 옥정호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 추진
관리자 | 2024-03-22 | 추천 0 | 조회 33
2024-03-22
659 고창군, 세계자연유산 고창갯벌 서식 조류 모니터링
관리자 | 2024-03-22 | 추천 0 | 조회 30
2024-03-22
658 전북환경청, 국가하천 유지보수비 45억원 지원
관리자 | 2024-03-22 | 추천 0 | 조회 32
2024-03-22
657 지리산국립공원, 남원 구룡계곡 봄철 야생화 '활짝'
관리자 | 2024-03-13 | 추천 0 | 조회 38
2024-03-13
656 무주군, 국가지질공원 재인증 토대 관광 활성화 주력
관리자 | 2024-03-13 | 추천 1 | 조회 37
2024-03-13
655 한국의 피렌체를 꿈꾸는 정읍, 워케이션의 성지로
관리자 | 2024-02-27 | 추천 1 | 조회 33
2024-02-27
654 임실 옥정호 마실길, 붕어섬 출렁다리 1일 재개장 "손님 맞이 준비 완료"
관리자 | 2024-02-27 | 추천 1 | 조회 29
2024-02-27
653 택배 과대포장 무엇이 문제인가
관리자 | 2024-02-19 | 추천 1 | 조회 26
2024-02-19
652 군산시, 섬 개발 통한 관광 산업 육성 총력
관리자 | 2024-02-19 | 추천 1 | 조회 22
2024-02-19
651 생물다양성, 우리는 6차 대멸종 시대에 살고 있다.
관리자 | 2024-02-16 | 추천 1 | 조회 29
2024-02-16
1 2 3 4 5 6 7 8 9 10 마지막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