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읽기 전북 생태관광 함께읽기

꿀벌은 도시를 좋아해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19-05-09 11:32:00
  • 조회1065

천재 물리학자 앨버트 아인슈타인은 꿀벌과 관련된 유명한 말을 남겼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지구상에서 꿀벌이 사라진다면 곧 식물이 멸종하고 인간도 4년 안에 지구에서 자취를 감출 것"이라고 말했는데요.


아인슈타인은 꿀벌의 멸종이 인류를 위협할 것이라 경고했습니다. 출처: fotolia
문제는 아인슈타인이 경고한 꿀벌의 멸종 시기가 머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미국에서 지난 2017년 한 해에만 전체 꿀벌의 40%가 사라졌다고 합니다. 큰 추위가 닥치는 매사추세츠 등에서는 꿀벌의 47%가 사라졌죠. 미국에서 단 1년 사이에 절반 가까이가 사라져버린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이 추세대로 꿀벌들이 계속 사라진다면 10년 이내에 전 세계 꿀벌들이 모두 멸종할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꿀벌 감소, 농약·질병 때문이 아니라 식물종이 감소하기 때문

 

Noah Wilson Rich 박사는 미국 최초로 상업시설과 주거시설에 양봉을 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었습니다. 그는 무엇이 꿀벌을 사라지게 하는지 알기 위해 미국 하버드대학과 MIT, NASA 등과 협업해 10여년에 걸친 큰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미국 전역 18개 주의 도시와 시골 지역에 1,000개의 벌통을 놓고 관찰한 것인데요. 리치 박사는 무엇이 꿀벌을 죽이는지 또 꿀벌이 살기 좋은 환경은 어디인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했다고 해요.

 

리치 박사는 연구 시작 전 꿀벌이 죽는 이유에 대해 세 가지 가설을 세웠습니다. 우선 농약 때문에 꿀벌이 죽는다는 가설을 연구하기 위해 리치 박사는 미국 하버드대학의 공중보건대학의 협조를 구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리치 박사에 따르면 꿀벌들은 농약 때문에 사라지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출처: fotolia
연구 결과는 가설과 정반대였는데요. 꿀벌들은 농약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 더 잘 살았고 벌집을 오래 유지했습니다. 또 벌집에서 나오는 꿀의 양도 많았습니다. 농약의 농도가 가장 높은 곳은 시골이 아니라 보스턴 등 도시 지역이었는데요. 꿀벌이 농약 등 화학제품 때문에 죽는다는 가설은 들어맞지 않았습니다.

 

 

리치 박사는 꿀벌이 전염병 때문에 죽는다는 가설의 진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려 했는데요. 이에 앞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이 이미 해당 연구를 진행한 사실을 알게 됐다고 해요.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꿀벌에 일어나는 전염병을 시골과 도시에 상관없이 일어나는 현상이었습니다. 그런데 도시의 벌들은 같은 병을 앓아도 시골의 벌들보다 생존률이 높았습니다. 꿀벌 전염병으로 벌들이 멸종을 맞고 있다는 가설도 완전히 들어맞지 않은 것이죠.

 

리치 박사는 꿀벌의 개체수가 줄어드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마지막 가설 검증에 착수합니다. 거주지에 대한 가설인데요. 꿀벌들이 꿀을 얻는 생물의 다양성이 훼손돼 거주지가 파괴된다는 가설입니다. 그 결과 벌의 개체수가 줄어들고 결국 멸종을 향해 가고 있다는 설명이죠. 리치 박사는 이를 위해 유전학자인 앤 매든 박사와 함께 HoneyDNA라는 유전체 검사법을 개발합니다. 꿀벌로부터 샘플을 채취하고 식물DNA를 조사해 꿀벌이 어느 나무 또는 어느 꽃으로부터 꿀을 얻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였죠.


꿀벌들이 멸종하는 이유는 꿀벌이 꿀을 얻는 생물의 다양성이 훼손되기 때문입니다. 출처: fotolia
그 결과 시골에 있는 벌꿀의 시료에서는 평균 150종의 식물종이 확인됐고 도시 근교는 100종, 도시는 200종의 식물다양성이 발견됐습니다. 이 결과는 꿀벌이 잘 생존하는 순서와도 일치했습니다. 꿀벌은 도시지역에서 가장 잘 번성했고 그 다음 시골에서 잘 살았습니다. 하지만 잔디가 깔린 넓은 마당이 많은 도시 근교의 주택촌에서는 상대적으로 번성하지 못했죠.

 

리치 박사는 "꿀벌에게 도시는 최고의 거주환경"이라며 "도심은 도시 근교에 비해 꿀벌의 거주환경 조건이 8배 이상 좋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전 세계 도심지의 건물 옥상에 다양한 식물을 심는 공간을 마련해 도심의 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이 꿀벌의 멸종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참고자료##
Noah Wilson-Rich, , Ted, 2018.


출처 : 이웃집과학자(http://www.astronomer.rocks/news/articleView.html?idxno=87588)

이상진 기자

게시글 공유 URL복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작성일
620 고창군 ‘운곡습지 유튜브 영상 공모전’ 개최
관리자 | 2023-09-06 | 추천 1 | 조회 16
2023-09-06
619 용의 전설을 간직한 아름답고 신비로운 계곡 - 전북 장수 방화동생태길
관리자 | 2023-08-29 | 추천 1 | 조회 9
2023-08-29
618 전북 서해안권 지질공원, 고창 명사십리지구 연안정비사업 추진
관리자 | 2023-08-29 | 추천 1 | 조회 14
2023-08-29
617 군산시, 제1회 대한민국 관광정책대상 수상
관리자 | 2023-08-16 | 추천 2 | 조회 10
2023-08-16
616 대형 화재가 세계 기후에 미치는 영향
관리자 | 2023-08-16 | 추천 1 | 조회 10
2023-08-16
615 전북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진안 마이산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관리자 | 2023-08-03 | 추천 1 | 조회 14
2023-08-03
614 환경측면에서 절실하게 요구되는 ESG 경영
관리자 | 2023-08-03 | 추천 1 | 조회 16
2023-08-03
613 전북도,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만경강 구현
관리자 | 2023-07-21 | 추천 1 | 조회 10
2023-07-21
612 전북도, 대한민국 대표 '웰니스'도시 선정…3년간 인증 유지
관리자 | 2023-07-21 | 추천 1 | 조회 10
2023-07-21
611 장수군 뜬봉샘 생태연못에 멸종위기 천연기념물 남생이 새 보금자리 마련
관리자 | 2023-06-29 | 추천 1 | 조회 12
2023-06-2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