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읽기 전북 생태관광 함께읽기

[e북으로 환경 읽기 ⑥] 그게 정말 가능해? '우리는 플라스틱 없이 살기로 했다'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0-09-20 10:12:00
  • 조회720
다섯 가족이 플라스틱을 쓰지 않고 살아본다는 얘기다. 플라스틱 없는 일상. 정말 가능할까?
이렇게 생각해보자. 당신은 아침에 눈을 뜨면 가장 먼저 뭘 하는가? 기자는 냉장고에서 플라스틱 물통을 꺼내 시원한 물을 한잔 마신다. 그런 다음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유산균을 한포 먹고 플라스틱 약통에서 종합비타민 한 알을 꺼내 씹은 다음 플라스틱 튜브 속 치약을 플라스틱 칫솔에 짜서 이를 닦고 플라스틱 컵으로 헹군다. 칫솔은 플라스틱 살균기에 넣고, 세면대에 튄 물은 휴지로 닦아 플라스틱 휴지통에 버린다.
이 세상에서 플라스틱을 모두 없애면 인류의 삶은 어떻게 될까. 당장 인간은 하루를 문제없이 살 수 있을까? 지구는 ‘플라스틱 시대’를 살고 있다. 인간이 입고 먹고 사용하고 버리는 것이 대부분 플라스틱이다. 지금 이 기사를 읽는 사람이 입고 있는 옷도 사실은 플라스틱이다. 스마트폰 케이스도, TV리모컨도, 햇빛을 막아주는 창문 블라인드도 플라스틱, 베개 속 충전재도 플라스틱, 머리맡 시계도 플라스틱, 화장실 변기도 플라스틱이다. 그런데 플라스틱 없이 산다고? 과연 그럴 수 있을까?
이 책의 제목 ‘우리는 플라스틱 없이 살기로 했다’에 관심이 갔던 건 바로 그래서였다. ‘정말 그게 될까?’하는 마음 반, ‘어디서 (제목 가지고) 장난질이야?’하는 마음 반이었다. 플라스틱 없이 사는게 불가능하다는 걸 역설적으로 표현한 제목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오스트리아의 한 작은 마을에 사는 물리치료사다. 남편과 세 아이와 함께 산다. 다섯 가족, 요즘 시선으로 보면 굉장한 대가족이다. 저자는 2009년 한 가을날, 다큐멘터리 영화 ‘플라스틱 행성’을 보고 삶에 대한 관점을 바꾼다. 지구를 덮은 플라스틱의 영향과 그로 인한 피해를 눈으로 본 저자는 ‘이전과 똑같은 인간으로는 살아갈 수 없겠다’는 예감에 사로잡혔다. 플라스틱을 쓰지 말자는 각오의 시작이었다.
저자의 친구들은 말했다. “어쩔 수 없잖아, 플라스틱은 이미 대세야” “(플라스틱을 안 쓴다고?) 안 된다니까” 심지어 저자가 보고 감명받은 다큐멘터리 ‘플라스틱 행성’의 감독 베르너 보테조차 이렇게 말했다. “플라스틱 없이 사는 실험을 해보겠다고? 누가 그런 엉뚱하기 짝이 없는 생각을 하난 말인가?”
다큐 감독 베르너 보테는 플라스틱이 우려스러운 물질을 방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지만,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그물망처럼 우리 주변을 완전히 포위하고 있다고 봤다. 그 플라스틱을 거부하겠다는 사람의 얘기에 베르너 역시 반신반의했다.
하지만 저자는 삶을 바꿨다. “한 달 동안 플라스틱 없이 살아볼래. 정말로 불가능한지 보자고” 다섯가족의 플라스틱 없는 집 프로젝트는 그렇게 시작됐다.
 
책을 쓴 산드라 크라우트바슐은 오스트리아 그라츠 인근 작은 마을에서 그냥 펑범한 시민이자 엄마로 살았다. 하지만 플라스틱 없이 살기 프로젝트를 하면서 달라졌다. 그는 환경운동가로 거듭났고 지방의회 의원으로 선출됐다. 산드라는 주 의회 보건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플라스틱을 안 쓰면서 자신의 집과 가족은 물론 살고 있는 지자체에까지 영향을 미친 산드라의 삶은 어땠을까?
출처 : 그린포스트코리아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693)
이한 기자
 
게시글 공유 URL복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작성일
580 익산시, 멸종위기종 생태습지 ‘동산동 다래못’ 복원
관리자 | 2023-01-19 | 추천 1 | 조회 14
2023-01-19
579 전라북도, 운곡·월영 습지 사진공모전 수상작 발표
관리자 | 2023-01-04 | 추천 1 | 조회 14
2023-01-04
578 익산 만경강·금마저수지, 천연기념물·멸종위기종 등 조류 96종 서식
관리자 | 2023-01-04 | 추천 1 | 조회 13
2023-01-04
577 ‘한국의 생태계교란 외래생물’ 자료집 발간
관리자 | 2022-12-27 | 추천 1 | 조회 11
2022-12-27
576 산림파괴, 생물다양성 손실의 가장 큰 원인이다
관리자 | 2022-12-27 | 추천 1 | 조회 17
2022-12-27
575 어름치·불나방 등 신규지정..멸종위기 야생생물 267종→282종
관리자 | 2022-12-22 | 추천 1 | 조회 12
2022-12-22
574 남원시 백두대간생태교육장, "색(色)다른 곤충들' 주제 특별기획전 개최
관리자 | 2022-12-22 | 추천 1 | 조회 15
2022-12-22
573 지구 자연 30% 보전에 매년 260조…생물다양성 총회 타결
관리자 | 2022-12-20 | 추천 1 | 조회 11
2022-12-20
572 ESG경영, 中企 대비책 마련 절실
관리자 | 2022-12-19 | 추천 1 | 조회 14
2022-12-19
571 새해부터 시행되는 ‘소비기한 표시제’, 여전한 문제 해결해야
관리자 | 2022-12-17 | 추천 1 | 조회 18
2022-12-1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