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생태관광에 대한 자료

폐플라스틱이 고품질 자원으로 거듭난다, 순환경제 시작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0-06-24 10:07:00
  • 조회1252

▷ 투명페트병만 따로 배출하는 시범사업의 성과로 마련한 고품질 재생원료로 의류, 가방, 화장품병 생산 본격화

▷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올해 12월부터 전국 공동주택 확대

▷ 국내재생원료 사용을 위한 설비 투자·제품 생산시 경제적 지원도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국내 기업들과 협업으로 올해 2월부터 실시한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시범사업'에 따라 수거된 페트병으로 의류, 가방, 화장품병 등 고품질 재활용제품을 생산했다고 밝혔다.

* 2020년 2월부터 서울, 제주도(제주, 서귀포), 천안, 김해, 부산 지역에서 공동주택·거점수거시설에 투명페트병 별도 수거함 설치 및 단독주택에 별도배출 봉투 배부

 

이번 협업은 정부혁신 과제인 '민관협력을 위한 교류 강화'의 하나로 추진하는 것이며, 국내 기업들이 최초로* 국민들이 배출한 폐페트병으로 고품질 재활용제품을 생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그간 폐페트병으로 만들어진 장섬유 및 의류는 전량 수입 폐페트병으로 제작(연 2.2만톤 수입 추정), 국내 폐페트 생산량 중 약 10%만 고품질로 재활용(29만톤 중 2.8만톤)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수거한 페트병으로 플리츠마마, 효성티앤씨에서 니트재질 의류 및 가방을 제작했으며, 스파클에서 방문수거한(역회수*) 페트병으로 블랙야크, 코오롱에프앤씨, 티케이케미칼에서 기능성 의류를 생산했다.

* 온라인 주문으로 생수 배송 시 이미 사용한 폐페트병을 가져가는 방식

 

에스엠티케이케미칼은 천안시에서 별도로 배출된 투명페트병으로 화장품병을 제작하여 병에서 다시 병(B to B, Bottle to Bottle)을 만드는 고품질 재활용 생산도 이달부터 시작했다.

 

<지역·단계별 협업과정 />  지역  수거·선별  원료가공  (병, 섬유생산)  최종제품 생산  (의류, 가방, B to B 등)  제주도  지자체,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삼다수 생산)  →  효성TNC  (섬유생산)  →  플리츠마마  전국  스파클 역회수  (가정방문판매 및 회수)  →  SM티케이케미칼  (섬유생산)  →  블랙야크, 코오롱FnC    천안시  지자체  →  SM티케이케미칼  (병생산)  →  협의 중
 

환경부는 이러한 시범사업 성과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수거-선별-재활용-제품생산 전단계별로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첫째, 수거단계에서 깨끗한 투명페트병이 모일 수 있도록 '재활용가능자원의 분리수거 등에 관한 지침'을 개정하여 이번 시범사업에 이어 올해 12월부터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을 전국 공동주택(아파트)으로 확대, 시행한다. 단독주택은 2021년 12월부터 시행한다.

 

또한, 올해 하반기에는 현재 포장재 재질이 표기된 분리배출표시에 배출방법을 병행하여 표시하도록 개선하고 이를 적극 홍보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게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이끌 예정이다. 

 

제주도, 천안시 외에 다른 지역에서 수거한 투명페트병도 고품질 재활용제품에 활용되도록 선별-재활용(재생원료생산)-재생원료가공-최종제품생산까지 민관협업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7월부터 참여기업 공모 등을 거쳐 전단계 민관협업 창구를 구축하여 새로운 재활용제품 종류를 늘리고,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을 위해 시설을 개선하거나 수입재생원료를 국내재생원료로 대체하기 위해 설비투자가 필요한 경우 지원사업도 병행한다.   

 

재생원료 수요창출에 필요한 제도기반도 구축한다.

 

2021년부터 제조사들의 재생원료 사용여부에 따라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분담금을 차등화하고,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제품생산을 위해 재생원료 품질등급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 생산자가 제조한 제품·포장재로 인해 발생한 폐기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제도로써, 생산자가 직접 수거·재활용하거나 생산량에 비례하여 분담금을 부과하고 이를 재활용 등에 지원

 

이러한 민관협업의 확대와 제도개선은 그간 양적 재활용에 치중해 온 국내 재활용업계 구조를 질적 재활용을 위한 순환경제체제로 전환하고, 국내 기업들의 재생원료산업 투자 확대와 전세계 재생제품시장으로의 진출을 준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미 코카콜라 등 국제적인 기업들은 재생원료 사용 확대를 위한 자체 목표를 선언했다. 최근 에스티로더코리아, 헨켈코리아 등에서는 국내 재생원료로 용기생산에 착수했다. 

 

2018년 전세계 페트 재활용 시장규모는 68억 달러로 추정(섬유시장의 44.8%)되며, 재생원료 사용 확대 흐름에 따라 2026년 125억 달러(약 1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2018∼2026 전세계 페트 재활용 시장 분석 및 전망(아큐먼 리서치 앤 컨설팅, 2019년 8월)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23.7만톤(2014년 대비 5만톤 증가)의 페트를 재활용했으나, 대부분 부직포, 솜 등 단섬유로 재활용(55%)되고 있다. 향후 시범사업의 성과와 같이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장섬유 재활용(의류 등)으로 10만 톤까지 확장 시 약 4,200억 원의 신규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 국제 재활용 표준(Global Recycled Standard)을 인증받은 장섬유(PF) 가격(톤당 3,500달러) 반영 및 환율 1,200원/달러 가정('19.12, 한국섬유산업합회 '섬유산업에 부는 리사이클 바람' 참조)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재생원료 사용 확대는 선형경제에서 순환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초석으로 이에 대한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효과적으로 순환경제체제로 전환하도록 선제적으로 지원하고 제도개선도 조속히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투명페트병 별도배출 시범사업 및 역회수 성과품.

        2. 페트병 재활용 체계 및 의류생산 과정.

        3. 재활용가능자원의 분리수거 등에 관한 지침 개정 주요내용.

        4. 질의/응답.  끝.

게시글 공유 URL복사
댓글작성

열기 닫기

댓글작성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작성일
424 “하나뿐인 지구, 함께하는 지구과학” 2023년 지질공원한마당 개최
관리자 | 2023-08-29 | 추천 1 | 조회 12
2023-08-29
423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 개최
관리자 | 2023-08-29 | 추천 1 | 조회 10
2023-08-29
422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의무화 대비, 환경정보 측정·관리 체계적 지원
관리자 | 2023-08-16 | 추천 1 | 조회 13
2023-08-16
421 환경부, 물관리조직 대폭 강화
관리자 | 2023-08-16 | 추천 1 | 조회 8
2023-08-16
420 다회용기 안심하고 쓰세요
관리자 | 2023-08-03 | 추천 1 | 조회 14
2023-08-03
419 8월 이후 집중호우 및 태풍 대비 국가하천 시설 일제 점검
관리자 | 2023-08-03 | 추천 1 | 조회 14
2023-08-03
418 '플라스틱 없는 내일' 실천… 환경방학 선포
관리자 | 2023-07-21 | 추천 1 | 조회 12
2023-07-21
417 50년 단절된 금북정맥 생태축 연결한다
관리자 | 2023-07-21 | 추천 1 | 조회 15
2023-07-21
416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중간 점검, 하반기 대국민 의견수렴 확대
관리자 | 2023-06-29 | 추천 1 | 조회 15
2023-06-29
415 제3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 수립
관리자 | 2023-06-29 | 추천 1 | 조회 11
2023-06-29
게시물 검색